실습 환경 : AWS Console (2022/09)
실습 목적 : 스토리지 서비스 EBS (Elastic Block Storage) 서비스를 구성해본다.
EBS (Elastic Block Storage) 란?
- 블록 형태 데이터 저장 스토리지 서비스
- application의 기본 스토리지로 사용하거나 시스템 스토리지로 사용하는데 적합
- 같은 가용영역의 EBS를 공유할 수 있다.
- 외장 HDD/SDD 성격으로, 필요시 EC2 instance에 마운트 하여 사용한다.
EBS 사용시 주의사항
- EBS는 크기가 정해지면 중간에 크기 변경이 불가능 하다.
- 하나의 EC2 instance만 EBS 볼륨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.
- 사용만큼 과금 되는 종량제다.
EBS 연결
EC2 메뉴 -> 볼륨에서 볼륨 생성 클릭 -> 볼륨 설정, 태그 설정 -> 볼륨 생성
- 볼륨 설정 - 볼륨 유형, 크기, 가용 영역 설정
- 태그 - 키 [ Name ] , 값 설정
생성된 볼륨 선택 -> 작업에서 볼륨 연결 선택 -> 기본 세부 정보 설정 -> 볼륨 연결
- 기본 세부 정보 - 인스턴스 [ 선택 가능한 인스턴스 ] , 디바이스 이름 설정
EC2 instance에서 EBS를 mount 하기
lsdlk
df -h
sudo mkfs -t ext4 /dev/xvdf
- 연결할 EBS 볼륨에 대한 file system 생성
sudo mount /dev/xvdf /mnt
- /dev/xvdf 에 연결된 EBS 볼륨과 /mnt 디렉토리 마운트
sudo umount /mnt
EBS 사용이 적합한 경우
- 데이터에 빠르게 액세스하고 장기적으로 지속해야 하는 경우
- 세분화된 업데이트가 필요하고 형식이 지정되지 않은 블록 수준의 원시 스토리지에 액세스 해야하는 파일 시스템, 데이터 베이스 또는 application의 기본 스토리지로 사용하기에 적합
- 임의 읽기 및 쓰기에 의존하는 데이터베이스 스타일의 application과 장기간의 읽기 및 쓰기를 수행하는 처리량 집약적 application에 모두 적합
- EBS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 S3를 주로 사용한다.